문재인정부는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 활성화를 핵심 국가전략으로 선언했다. 이를 위해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를 설치해 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작년 초 알파고와 함께 우리 사회의 대중적 키워드가 된 4차 산업혁명은 정치적 이슈가 아닌 국가적 과제로 다가왔다. 물리적, 생물적, 그리고 디지털 세계가 초연결(hyper-connected)되며 경계를 허무는 4차 산업혁명은 이미 우리 생활 속에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알파고가 보여준 인공지능(AI)의 무한한 가능성,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우리 눈앞에 펼쳐주는 가상현실(VR), 그리고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가 제공하는 지능형 서비스 등은 미래 사회에 대한 기대를 갖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그 변화의 전방위성은 두려움을 주기도 한다. 2017년 다보스 세계경제포럼은 우리 아이들의 65%가 현재 존재하지 않는 형태의 직업을 가지게 될 것이라 예측하고 있으니 말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 그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이다. 과거 교육이 산업인력으로서 필요한 보편적 기능과 소양을 익히는 것이었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창의적인 융합 능력을 키우는 것이고 그 중심은 소프트웨어(SW) 교육에 있다. 미국 프랑스 등 선진국들은 일찌감치 SW 교육을 기초교육으로 규정했다. 우리나라도 중학교는 2018년도부터, 초등학교는 2019년부터 SW 교육이 의무화된다. 이와 함께 정부에서는 2015년부터 &squot;SW중심대학 지원사업&squot;을 통해 핵심 인재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공학뿐 아니라 인문, 사회, 의학, 예술 등 전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 창출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학문 전 분야 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은 SW 인력 양성을 넘어서 SW를 기반으로 하는 학제 간 융합 교육과 연구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새로운 기술 시험대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비전공자의 창의적 사고를 SW와 연계할 수 있는 교육과 이를 산업화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 역시 대학의 중요한 역할이다. 대학이 보유한 SW 전문인력과 시설을 활용해 초·중등 교육기관과 연계한 SW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 지원 기능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은 교육 시스템 변화와 혁신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정부와 산업계는 대학의 변화를 적극 유도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와 높은 교육열로 무장되어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두려움은 우수한 인재들을 어떻게 교육시키느냐에 따라 세계 질서의 중심으로 나아갈 기대감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출처 : 매일경제, 기사원문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009&aid=0003992617> |